본문 바로가기

Statistical Analysis/SAS

(17)
[SAS OnDemand for Academics] Linear Regression, 선형 회귀분석 세부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 바랍니다. 본 포스팅에서는 코드만 기술합니다. https://sw-tatistics.tistory.com/42 [R] Linear Regression, 선형 회귀분석(1) 선형 회귀분석은,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간 관계를 수리적 함수로 만드는 것이다. 함수로 만드는 목적은 단순 명료하다. 함수로 표현함으로써 독립 변수를 이용해 종속 변수를 예측할 수 있고, sw-tatistics.tistory.com
[SAS OnDemand for Academics]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(스피어만 상관 계수), Kendall Tau coefficient(켄달 타우 계수) 세부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 바랍니다. 본 포스팅에서는 코드만 기술합니다. https://sw-tatistics.tistory.com/41?category=1054291 [R]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(스피어만 상관 계수), Kendall Tau coefficient(켄달 타우 계수) 둘 다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피어만 상관 계수, 켄달 타우 계수는 동시에 같이 해보려 한다. 피어슨 상관 계수처럼 두 변수 간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수치지만, 조금 다르다. 피어 sw-tatistics.tistory.com
[SAS OnDemand for Academics]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, 피어슨 상관 계수 세부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 바랍니다. 본 포스팅에서는 코드만 기술합니다. https://sw-tatistics.tistory.com/40?category=1054291 [R]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, 피어슨 상관 계수 피어슨 상관 계수는 두 변수의 선형 상관 관계를 계량화한 수치이다. 결과값은 -1~1 사이의 값을 가지고, 1에 가까울수록 양의 상관 관계를 의미하고, -1에 가까울수록 음의 상관 관계를 의미한다. sw-tatistics.tistory.com
[SAS OnDemand for Academics] exact McNemar test, 정확 맥니마 검정 세부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 바랍니다. 본 포스팅에서는 코드만 기술합니다. https://sw-tatistics.tistory.com/39?category=1054291 [R] exact McNemar test, 정확 맥니마 검정 정확 맥니마 검정은... 사실 정확한 표현인지는 잘 모르겠다. 카이제곱 검정에서 가정이 만족되지 못할 때, 정확 검정을 사용하는 느낌이라고만 생각해도 될 듯..? 어쨌든 정확 맥니마 검정도 마 sw-tatistics.tistory.com
[SAS OnDemand for Academics] McNemar test, 맥니마 검정 세부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 바랍니다. 본 포스팅에서는 코드만 기술합니다. https://sw-tatistics.tistory.com/38?category=1054291 [R] McNemar test, 맥니마 검정 맥니마 검정은 2x2 빈도표에서 사용하는 카이제곱 검정이라고 보면 된다. 근데 더 중요한 점은 표본이 대응 표본이라는 점이다. 가정은 다음과 같다. 1. 표본이 대응 표본이다. 2. 아래 빈도표 기 sw-tatistics.tistory.com
[SAS OnDemand for Academics] Fisher's exact test, 피셔의 정확 검정 세부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 바랍니다. 본 포스팅에서는 코드만 기술합니다. https://sw-tatistics.tistory.com/37?category=1054291 [R] Fisher's exact test, 피셔의 정확 검정 피셔의 정확 검정은 카이제곱 검정의 가정에서 독립성 가정만 충족할 때 사용한다. 따라서, 독립성 가정만 충족하면 사용할 수 있다. 가설은 카이제곱 검정과 동일하다. - 귀무 가설 : 두 변수는 sw-tatistics.tistory.com
[SAS OnDemand for Academics] Chi-square test, 카이제곱 검정 세부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 바랍니다. 본 포스팅에서는 코드만 기술합니다. https://sw-tatistics.tistory.com/36?category=1054291 [R] Chi-square test, 카이제곱 검정 카이제곱 검정은 2개의 명목형 변수를 대상으로 연관성에 대해 확인할 때 사용한다. 확인해야 하는 가정은 다음과 같다. 1. 독립성 가정 : 한 명의 대상에게서 하나의 관측치를 얻어야 한다. 2. 기 sw-tatistics.tistory.com
[SAS OnDemand for Academics] Cronbach's Alpha, 크론바흐 알파 세부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 바랍니다. 본 포스팅에서는 코드만 기술합니다. https://sw-tatistics.tistory.com/35?category=1054291 [R] Cronbach's Alpha, 크론바흐 알파 크론바흐 알파 계수는 주로 설문조사 항목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다. 설문조사를 하는 곳이라면 흔히 사용되고 있을 것이기 때문에 상황에 대한 언급은 따로 하지 않겠다. 사실 sw-tatistics.tistory.com
[SAS OnDemand for Academics] Welch's ANOVA 세부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 바랍니다. 본 포스팅에서는 코드만 기술합니다. https://sw-tatistics.tistory.com/34?category=1054291 [R] Welch's ANOVA Welch's ANOVA는 ANOVA의 가정 중에서 등분산성 가정이 만족되지 못 할 때 사용하는 검정법이다. 가정은 등분산성 가정만 제외하면 ANOVA와 같다. 1. 정규성 : 각 집단의 표본은 정규성을 만족해야 한다. sw-tatistics.tistory.com
[SAS OnDemand for Academics] Kruskal Wallis test, 크루스칼 왈리스 검정 세부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 바랍니다. 본 포스팅에서는 코드만 기술합니다. https://sw-tatistics.tistory.com/32?category=1054291 [R] Kruskal Wallis test, 크루스칼 왈리스 검정 크루스칼 왈리스 검정은 ANOVA의 가정 중에서 정규성 가정이 만족되지 않을 때 사용하는 비모수 검정이다. 비모수 검정답게 가정은 훨씬 간단하다. 1. 표본은 독립적이어야 한다. 2. 측정값은 최소 sw-tatistics.tistory.com